본문 바로가기
향수

4대 동물성 향료(Musk, Ambergress, Beaver, Cevetcat)

by 로지1813 2023. 8. 1.

* 4대 동물성 향료 Musk, Ambergress, Beaver, Cevetcat에 대해서 알아보자.

향수의 역사를 통틀어 동물 유래 향료 성분은 독특하고 매혹적인 향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4가지 동물성 향료는 사향, 용연향, 비버향, 시벳캣 입니다.

이 성분들은 복합성, 관능성 등 향수의 전반적인 향기 구성을 풍부하게 해 주고 고착제 능력으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1. 사향(Musk)

사향은 수컷 사향노루의 생식선에서 분비되는 향이 강한 물질입니다.

사향노루는 짝짓기 시즌에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사향을 생산합니다.

역사적으로 사향은 사향노루를 포획해서 향선을 추출하여 얻었지만 사향노루 개체수 보존 문제로 인해 오늘날 향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사향은 합성향입니다.

 

천연 사향은 달콤하고 동물적이며 복잡하고 매혹적인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뜻하고 관능적이며 플로럴, 우디, 스파이스 노트와 잘 어우러져 향에 깊이와 지속성을 더해줍니다.

사향은 고대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음제 특성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양한 의약 및 종교 관행에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향수 제조에서 합성 머스크는 고정제로 널리 사용되어 다른 향 노트를 안정화하고 강화합니다.

 

따뜻함: 사향은 따뜻하고 매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근함과 편안함을 발산하여 겨울과 저녁 향수로 인기가 높습니다.

관능적: 머스크는 관능과 친밀함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매력적이고 친밀한 향은 매혹적이고 낭만적인 많은 향수의 핵심 성분입니다.

부드럽고 파우더리한 느낌: 머스크는 부드럽고 파우더리 한 면이 있어 향수에 섬세하고 우아한 느낌을 더합니다.

2. 용연향(Ambergress)

용연향은 향유고래(Physeter Macrocephalus)의 소화관에서 형성되는 희귀하고 귀한 물질입니다.

고래가 날카로운 물체나 오징어 부리를 섭취하면 밀랍같은 물질을 분비하여 앰버그리스를 만듭니다.

소화가 되지 못하고 토해낸 앰버그리스는 바다 표면에 떠다니면서 햇빛과 바람에 숙성되어 독특한 향기를 갖게 됩니다.

용연향은 바다, 흙, 달콤함이 혼합된 독특하고 복합적인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뜻한 느낌과  짠맛의 느낌과 독특한 바다향이 함께 나며 동시에 고급스러운 느낌도 있습니다.

 

앰버그리스는 그 희소성과 매혹적인 향기로 수세기동안 소중히 여겨져 왔습니다.

역사적으로 향수나 의약품 등에 사용되어 왕족에게 어울리는 귀중한 성분으로 여겨졌고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앰버그리스는 향수 세계에서 매우 인기 있고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용연향은 짠 바다 공기의 향기와 탁 트인 바다의 광활함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향이 나기도 하고 축축한 흙이나 젖은 바위를 연상시키는 흙 같은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벨벳 같은 질감이 있어 향수에 고급스럽고 세련된 느낌을 가득 더해줍니다.

 

3. 비버(Beaver, Castoreum)

해리향이라고도 불리는 비버향은 주로 북미 및 유럽에 서식하는 비버의 생식선과 항문사이에 있는 선낭에서 뽑아내는 크림 형태의 분비물입니다. 

천연 비버향은 향이 풍부하고 스모키 한 느낌과 동물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뜻하고 은은하고 약간 달콤하며 흙 냄새가 나기 때문에 다용도로 매혹적인 향기 중 하나입니다. 특히 레더 및 시프레 타입 구성에서 향에 깊이와 관능미를 더하는 데 자주 사용되고 향수 및 의약품 분야에서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시대에 약효가 높게 평가되어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해리향의 가장 독특한 측면 중 하나는 가죽 향입니다. 풍부하고 깊고 약간 스모키한 가죽 향이 있어 향에 깊이와 복합성을 더합니다. 동물적이고 흙 같은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리향은 발사믹을 베이스로 은은한 달달한 느낌이 있습니다. 이 달달한 느낌의 향은 전체적인 향의 균형을 유지하고 세련된 느낌을 더해줍니다.

 

4. 시벳캣(Cevetcat)

영묘향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에 서식하는 사향 고양의 항문 근처에 있는 분비선에서 분비물을 모아서 얻은 유성 물질입니다. 사향고양이의 분비물은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 데 사용합니다. 전통적으로 영묘향은 사향고양이를 포획하여 그 분비물을 채취하여 얻었지만 요즘에는 개체수 보호를 위해 합성영묘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천연 영묘향은 향취가 강하고 머스키 한 느낌입니다. 대량 사용하며 불쾌한 향취가 나기도 하지만 소량 사용 시 향기에 깊이, 복잡성 및 따뜻함을 더하고 다양한 향료 성분을 혼합하고 조화시키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묘향은 고대부터 향수 제조에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중동과 아시아에서는 향기를 보류시키는 특성이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사향고양이 보호를 위해 합성향으로 대체되어 향수 제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결론

머스크, 용연향, 비버향, 영묘향은 복합성, 관능성 그리고 향 구성을 강화하고 풍부하게 하는 능력으로 인해 향수 분야에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고대에는 동물 자체에서 성분을 얻은 천연향을 사용하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윤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개체수를 보존하기 위해 합성향료를 사용해서 향수를 제조합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물적인 향기의 매력은 향 애호가들을 계속 매료시키고 향수의 예술성과 창의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댓글